2024. 6. 3. 21:43
728x90
반응형
간접정범
형법 제34조(간접정범, 특수한 교사, 방조에 대한 형의 가중)
① 어느 행위로 인하여 처벌되지 아니하는 자 또는 과실범으로 처벌되는 자를 교사 또는 방조하여 범죄행위의 결과를 발생하게 한 자는 교사 또는 방조의 예에 의하여 처벌한다.
- 타인을 이용하여 범죄를 실행하는 사람. 즉, 자신은 직접 실행행위를 하지 않지만, 타인을 도구로 사용하여 범죄를 실행하는 사람
간접정범의 요건
- 피이용자 : 처벌되지 않거나 과실범으로 처벌되는 자
- 처벌되지 않는 자
피이용자의 행위가 구성요건 자체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이용해서 간접정범의 범죄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.
-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
→ 피이용자를 기망하여 자살하게 한 경우 -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지만 고의가 없는 경우
→ 피이용자가 범죄사실을 모르는 경우, 간접정범의 가장 전형적인 사례이다. 피이용자에게 과실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- 고의는 있지만 신분 또는 목적이 없는 경우
→ 규범적, 심리적 행위지배 - 구성요건에 해당하지만 위법하지 않은 경우
→ 국가기관(정당행위)을 도구로 이용하는 경우나, 정당방위나 긴급피난 상황을 이용하는 경우 - 구성요건에 해당하고, 위법하지만, 책임 없는 행위인 경우
→ 간접정범 뿐 아니라 교사범도 성립이 가능하다 (다수설인 제한적 종속 입장에서)
→ (간접)정범의 성립 여부를 먼저 형법적으로 검토를 한다. 여기에서 판단 기준은 의사지배 여부이다.
→ 피이용자가 책임능력이 없거나 기타 책임조각사유가 있고, 이용자의 행위지배가 있는 경우
-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
- 과실범으로 처벌되는 자
피이용자가 고의가 아닌 과실로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도 간접정범이 성립할 수 있다.
- 피이용자에게 과실은 있지만 과실범 처벌규정이 없는 경우도 포함된다.
- 처벌되지 않는 자
- 간접정범은 피이용자를 교사하거나 방조하여 범죄를 실행하게 해야한다.
- 여기서 말하는 “교사”, “방조”는 교사범이나 종범의 행위가 아니라 “사주 또는 이용”의 뜻이다. 즉 “의사지배”를 통하여 피이용자의 심리를 완전히 장악한 상태를 말한다.
- 여기서 실행의 착수시기는 이용자가 이용행위를 개시한 때로 본다 (통설)
- 결과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간접정범의 미수범으로 처벌한다.
간접정범의 처벌
형법 제34조(간접정범, 특수한 교사, 방조에 대한 형의 가중)
① 어느 행위로 인하여 처벌되지 아니하는 자 또는 과실범으로 처벌되는 자를 교사 또는 방조하여 범죄행위의 결과를 발생하게 한 자는 교사 또는 방조의 예에 의하여 처벌 한다.
- 교사 또는 방조의 예에 따라 처벌한다. (간접정범은 정범의 일종인데, 공범의 형(교자,방조)으로 처벌하는 것은 입법론상 의문이 있다. → 그렇다면 왜 간접정범의 정범으로 따로 분류를 해서 구별을 하는가? 처벌을 너무 가볍게 하는 것이 아닌가? 간접정범의 책임을 과소평가)
- 간접정범의 미수는 독자적인 간접정범의 미수로 처벌된다. 즉, 교사 또는 방조의 형에 미수에 관한 조항(제25조~제27조)을 적용한다.
(간접정범 의 미수는 공범의 미수가 아니고 정범의 미수이다. 따라서 성립한다)
→ 형법 제25조(미수범)
①범죄의 실행에 착수하여 행위를 종료하지 못하였거나 결과가 발생하지 아니한 때에는 미수범으로 처벌한다.
②미수범의 형은 기수범보다 감경할 수 있다.
제26조(중지범)
범인이 자의로 실행에 착수한 행위를 중지하거나 그 행위로 인한 결과의 발생을 방지한 때에는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한다.
제27조(불능범)
실행의 수단 또는 대상의 착오로 인하여 결과의 발생이 불가능하더라도 위험성이 있는 때에는 처벌한다. 단,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할 수 있다. - 교사의 미수에 대한 제31조 2,3항은 적용되지 않는다. (공범 자체 미수는 원칙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. )
→ 형법 제31조(교사범)
②교사를 받은 자가 범죄의 실행을 승낙하고 실행의 착수에 이르지 아니한 때에는 교사자와 피교사자를 음모 또는 예비에 준하여 처벌한다.
③교사를 받은 자가 범죄의 실행을 승낙하지 아니한 때에도 교사자에 대하여는 전항과 같다.
간접정범의 착오
간접정범이 피이용자의 범죄 실행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는 경우
- 책임 능력에 관한 착오가 일어나게 되면 간접정범이 성립하지 않는다.
- 이용자가 피이용자를 책임 무능력자로 오인한 경우, 실제 행위지배가 없으므로 교사범만 성립한다.
- 이용자가 책임 무능력자인 피이용자를 책임능력자로 오인한 경우, 행위지배의 고의가 없으므로 공범(교사 또는 방조)만 성립한다.
- 피이용자가 범죄의 객체나 내용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한 경우, 착오이론에 따라 해결한다. (법정적 부합설)
→ 피이용자의 초과행위에 대해서는 간접정범은 책임지지 않는다.
자수범(自手犯)과 간접정범
자수범에 대해서는 간접정범이 불가능하다.
→ 간접정범이라는 것은 다른 사람을 도구로 범죄를 하는 것을 가리키는데, 자수범이라고 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 직접 범죄를 해야만 성립하는 범죄를 가리킨다.
→ 위증죄, 업무상비밀누설죄
특수간접정범
특수 교사 방조를 규정한 제34조 2항은 간접정범에도 적용된다 (다수설)
형법 제34조(간접정범, 특수한 교사, 방조에 대한 형의 가중)
②자기의 지휘, 감독을 받는 자를 교사 또는 방조하여 전항의 결과를 발생하게 한 자는 교사인 때에는 정범에 정한 형의 장기 또는 다액에 그 2분의 1까지 가중하고 방조인 때에는 정범의 형 으로 처벌한다.
728x90
반응형
'⚖️ legal log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민법] 통정허위표시 (0) | 2024.06.05 |
---|---|
[민법] 비진의 표시 (0) | 2024.06.05 |
[민법] 의사표시 (0) | 2024.06.05 |
[형법] 공범과 신분, 신분범 (0) | 2024.06.03 |
[형법] 공범 - 종범(방조범) (0) | 2024.06.03 |
[형법] 공범 - 교사범 (0) | 2024.06.03 |
[형법] 공범 - 공동정범 (0) | 2024.06.03 |
[형법] 공범 (0) | 2024.06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