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비자기본법 : https://www.law.go.kr/법령/소비자기본법
소비자기본법
www.law.go.kr
01. 소비자의 개념
‘소비자기본법’의 소비자 개념 및 규정
소비자 : 사업자가 제공하는 물품, 시설물 또는 용역을 소비생활을 위하여 사용 및 이용하는 자를 말한다.
제공된 물품 등을 원재료, 자본재 또는 이에 준하는 용도로 생산활동에 사용하는 자는 소비자의 범위에서 제외하나, 제공된 물품 등을 농업, 축산업 및 어업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자는 소비자의 범위에 포함된다
(원양산업발전법에 따라 원양어업을 하는 자는 소비자의 범위에서 제외)
[참고] 우리나라는 ‘소비자기본법’에서 소비자의 개념을 규정하고 있으나, 독일은 ‘민법’에서 소비자의 개념정의 규정을 두고 있다.
산업사회와 소비자의 지위
산업사회는 구조적으로 끊임없이 상품과 용역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고, 소비사회에서는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것 이상으로 소비가 이루어진다 (과잉소비사회)
소비자는 물품과 용역의 유통체계에서 마지막 단계에 있기 때문에 사업자가 발생시킨 피해를 다른 곳에 전가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야한 지위에 놓여있다.
02. 소비자문제
소비자문제 : 거래상 지위의 불균등, 신상품의 빈번한 출시 및 모델 변경으로 인한 소비 강요, 허위 또는 과장광고를 통한 소비자기만, 독과점, 불공정거래, 관리가격을 통한 소비자이익의 침해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.
시장경제와 소비자보호의 필요성
소비자는 구조적으로 상품의 내용 및 거래방식 등에 관한 지식과 정보력이 매우 부족하므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과 법규가 필요하다.
계약내용의 실질적인 공정성의 확보를 중시하는 객관적인 계약이념이 더 중요하다. (계약자유 → 계약공정으로 이념 이동)
소비자문제의 발생 원인
(1) 거래상 지위의 불균등
(2) 신상품의 빈번한 출시 및 모델 변경으로 인한 소비 강요
(3) 허위, 과장광고를 통한 소비자기만
(4) 독과점, 불공정거래, 관리가격을 통한 소비자이익의 침해
소비자피해의 특징
(1) 보편적이고 구조적인 발생
(2) 피해의 광범위성과 중대성
(3) 예방 및 회피의 곤란성
(4) 피해원인 규명의 곤란성
'⚖️ legal log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본권의기초이론] 기본권 제한의 일반원칙 (2) (0) | 2022.09.16 |
---|---|
[헌법재판소] 헌법재판소 설립 근거, 판례 검색, 사건부호, 법원 비교 (0) | 2022.09.16 |
[기본권의기초이론] 기본권 제한의 일반원칙 (1) (0) | 2022.09.15 |
[기본권의기초이론] 기본권의 경합과 충돌, 기본권의 제한 (0) | 2022.09.07 |
[소비자법] 소비자분쟁의 구제방법 및 절차 (2) (0) | 2022.09.05 |
[기본권의기초이론] 기본권의 개념과 성격, 주체 (0) | 2022.08.25 |
[소비자법] 소비자분쟁의 구제방법 및 절차 (1) (0) | 2022.08.23 |
[소비자법] 소비자론 및 소비자기본법의 소비자 권리 (2) (0) | 2022.08.20 |